본문 바로가기

임상공부106

E-tube에 normal saline으로 toileting을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기관 내 삽관 환자에게 석션을 하기 전에 Endotracheal Tube(ETT)에 생리식염수를 소량 주입하고(normal saline instillation), 그 후 앰부배깅(ambu bagging)을 몇 차례 실시한 다음 석션을 시행하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원리에 근거합니다. 분비물 묽어짐(Thinning & Loosening of Secretions)생리식염수를 E-tube 안으로 주입하면, 점도 높은 분비물을 묽게 만들어 석션으로 제거하기 쉽게 해줍니다.특히 가래가 끈적이거나 건조할 때, 식염수 instillation이 분비물을 불려서 덩어리를 작은 단위로 만듦으로써 석션 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양압환기(Ambu Baggi.. 2025. 1. 20.
ACLS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ACLS는 심정지와 기타 심각한 심혈관계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이 표준화된 지침에 따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는 고급 소생술입니다. 1. 초기 평가 및 기본 소생술(BLS)반응 확인환자의 의식 및 반응 여부를 확인합니다.반응이 없으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며, 즉시 CPR 시작 준비를 합니다.호흡 및 맥박 확인 (10초 이내)가슴의 움직임, 숨소리, 맥박을 확인합니다.정상적인 호흡과 맥박이 없으면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시작합니다.고품질 CPR 수행가슴 압박:속도: 분당 100~120회.깊이: 약 5~6cm.압박 후 완전한 이완을 보장합니다.인공호흡:가슴이 상승하는 정도로 2회의 인공호흡을 제공합니다.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은 30:2 비율로 진행합니다... 2025. 1. 20.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균 감염(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1. 정의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균 감염(CDI)은 Clostridium difficile이라는 그람양성 혐기성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하는 장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CDI는 설사, 대장염, 심각한 경우 독성거대결장(Toxic Megacolon)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2. 원인항생제 사용광범위 항생제(예: 클린다마이신, 플루오로퀴놀론, 세팔로스포린) 사용으로 장내 정상세균총이 파괴되어 C. difficile의 과성장이 촉진됩니다.병원 환경 노출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C. difficile 포자에 노출될 위험이 높습니다.면역저하 상태고령, 암 치료, 면역억제제 사용 등이 CDI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위산 억제제 사용프로톤.. 2025. 1. 20.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1. 정의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은 항생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감염입니다. VRSA는 치료가 어렵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공중보건에서 중요한 문제로 간주됩니다.2. 원인내성 유전자의 획득VRSA는 Enterococcus spp.에서 내성 유전자(vanA, vanB)를 획득하여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발달시킵니다.항생제 남용 및 오용장기간의 반코마이신 사용은 내성 균주의 발달을 촉진합니다.의료 환경 노출병원, 특히 중환자실(ICU)에서 VRSA 전파 위험이 증가합니다.기존 감염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감염 병력이.. 2025. 1. 19.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감염(CRE):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1. 정의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은 장내세균군(예: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이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원성 세균입니다. 이 균주는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며, 항생제 치료가 어렵고 높은 사망률과 연관됩니다.2. 원인항생제 내성 유전자CRE는 KPC(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NDM(New Delhi metallo-beta-lactamase), VIM, OXA-48과 같은 베타-락타메이스 생성으로 인해 내성을 가집니다.과도한 항생제 사용광범위 항생제의 장기적, 과도한 사용은 내성.. 2025. 1. 19.
Liver Cirrhosis로 인한 Esophageal Varices Bleeding 환자에게 Terlipressin을 투약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Terlipressin은 간경변(Liver Cirrhosis)으로 인한 식도정맥류 출혈(Esophageal Varices Bleeding)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물입니다. 이는 바소프레신(Vasopressin)의 합성 유사체로, 혈관 수축 작용과 간문맥압 감소 효과를 통해 출혈을 조절합니다. Terlipressin 투약의 주요 목적간문맥압 감소간경변 환자에서는 간문맥압이 상승하여 식도 및 위의 정맥류가 형성됩니다.Terlipressin은 내장 혈관을 수축시켜 간으로 유입되는 혈류량을 줄이고, 간문맥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정맥류의 압력을 완화합니다.출혈 조절식도정맥류 출혈은 급성 대량 출혈을 유발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Terlipress.. 2025.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