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1. 정의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균 감염(CDI)은 Clostridium difficile이라는 그람양성 혐기성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하는 장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CDI는 설사, 대장염, 심각한 경우 독성거대결장(Toxic Megacolon)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원인
- 항생제 사용
- 광범위 항생제(예: 클린다마이신, 플루오로퀴놀론, 세팔로스포린) 사용으로 장내 정상세균총이 파괴되어 C. difficile의 과성장이 촉진됩니다.
- 병원 환경 노출
- 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C. difficile 포자에 노출될 위험이 높습니다.
- 면역저하 상태
- 고령, 암 치료, 면역억제제 사용 등이 CDI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위산 억제제 사용
-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사용으로 위산이 감소하면, C. difficile의 생존율이 높아집니다.
3. 증상
- 경증
- 수양성 설사(하루 3회 이상).
- 경미한 복통.
- 중등도
- 고열, 빈맥.
- 혈변.
- 중증
- 복부 팽만과 심한 압통.
- 독성거대결장, 패혈증.
4. 진단
- 임상 증상
- 설사(하루 3회 이상의 묽은 변)와 최근 항생제 사용 이력.
- 실험실 검사
- C. difficile 독소 검사: 대변에서 독소 A와 B를 탐지.
- PCR: 독소 유전자를 검출하여 정확한 진단 가능.
- 영상 검사
- 중증 환자에서 복부 CT를 통해 독성거대결장 또는 대장천공 여부 확인.
5. 치료
- 항생제 치료
- 경증-중등도: 경구용 반코마이신(125mg 1일 4회, 10일) 또는 피다목시마이신.
- 중증: 경구용 반코마이신에 더해 메트로니다졸 IV 병합.
- 대변 미생물 이식(FMT)
- 재발성 CDI 환자에서 정상 장내 미생물 회복을 위해 시행.
- 수액 및 전해질 보충
-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교정을 위해 수액 치료.
- 수술적 치료
- 독성거대결장이나 대장천공 발생 시 응급 수술 필요.
6. 예방
- 감염관리
- 손 위생 철저: 비누와 물 사용(알코올 소독제는 효과가 제한적).
- 의료기기 및 환경 소독: C. difficile 포자 제거를 위해 표백제 사용.
- 항생제 사용 제한
-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
- 프로바이오틱스
- 고위험 환자에서 예방적 사용 고려.
반응형
'임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ube에 normal saline으로 toileting을 하는 이유 (0) | 2025.01.20 |
---|---|
ACLS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0) | 2025.01.20 |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0) | 2025.01.19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감염(CRE):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0) | 2025.01.19 |
Liver Cirrhosis로 인한 Esophageal Varices Bleeding 환자에게 Terlipressin을 투약하는 이유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