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1. 정의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은 장내세균군(예: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이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원성 세균입니다. 이 균주는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며, 항생제 치료가 어렵고 높은 사망률과 연관됩니다.
2. 원인
- 항생제 내성 유전자
- CRE는 KPC(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NDM(New Delhi metallo-beta-lactamase), VIM, OXA-48과 같은 베타-락타메이스 생성으로 인해 내성을 가집니다.
- 과도한 항생제 사용
- 광범위 항생제의 장기적, 과도한 사용은 내성 균주의 발달을 촉진합니다.
- 의료 환경 노출
- 병원, 특히 중환자실(ICU)에서 장기간 입원한 환자에게서 발생률이 높습니다.
- 의료 기기 사용
- 카테터, 인공호흡기, 중심정맥관 사용은 CRE 감염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3. 증상
CRE 감염의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릅니다.
- 요로감염(UTI): 빈뇨, 배뇨통, 혈뇨.
- 폐렴: 기침, 발열, 호흡곤란.
- 균혈증: 고열, 저혈압, 쇼크.
- 복강 감염: 복통, 구역질, 발열.
4. 진단
- 미생물 검사
- 혈액, 소변, 가래, 상처 배양을 통해 CRE를 분리.
- 항생제 감수성 검사
- 카바페넴 항생제(Meropenem, Imipenem)에 대한 내성 여부 확인.
- 분자진단법
- KPC, NDM, OXA-48과 같은 내성 유전자 탐지.
5. 치료
- 항생제 치료
- 이중/삼중 항생제 요법: Colistin, Tigecycline, Fosfomycin을 포함한 복합 요법 사용.
- Ceftazidime-Avibactam: KPC 생성 CRE에 효과적.
- Meropenem-Vaborbactam: 특정 내성 균주에 사용 가능.
- 지지적 치료
- 감염 부위에 따라 적절한 처치: 소변 배출을 위한 도뇨관 제거, 감염된 카테터 제거.
- 수액 및 전해질 보충.
- 외과적 치료
- 농양 배액 및 감염된 조직 제거.
6. 예방
- 감염관리 프로토콜 준수
- 손 위생 철저, 개인 보호장비(PPE) 사용.
- 의료 기기의 무균 처리.
- 항생제 사용 제한
-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 최소화.
-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기반한 적절한 항생제 사용.
- 환자 격리
- CRE 감염 또는 보균자 환자를 격리 병실에 배치.
- 감시 및 추적
- CRE 감염 사례 모니터링 및 보고.
- 감염 관리 프로그램 강화.
반응형
'임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균 감염(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CDI):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0) | 2025.01.20 |
---|---|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가이드 (0) | 2025.01.19 |
Liver Cirrhosis로 인한 Esophageal Varices Bleeding 환자에게 Terlipressin을 투약하는 이유 (0) | 2025.01.19 |
ARDS에서 High-Dose Steroid를 투약하는 이유 (0) | 2025.01.19 |
ERCP 후 급성 췌장염이 발생하는 이유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