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공부

독감(Influenza)에 대한 모든것

by 밥스토리 2025. 1.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독감(Influenza)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일반적인 감기(Common cold)보다 증상이 더 심하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전염력이 높은 질환입니다. 독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ScienceAlert


1. 원인(Pathogen)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주로 A형, B형, C형으로 나뉘며, A형과 B형이 사람에게서 가장 흔히 발병을 일으킵니다.
  •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표면의 단백질(HA, NA) 구성이 항원 변이를 자주 일으켜 새로운 변종이 생기기 쉽습니다. 때문에 매년 유행(Seasonal epidemic)이 달라질 수 있고, 팬데믹(전 세계적 대유행)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비교적 변이가 적으며, 소규모 또는 지역적 유행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전파 경로(Transmission)

  1. 비말 전파(Droplet transmission)
    • 기침이나 재채기 시 생기는 비말(침방울) 안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어, 주변 사람들이 흡입하거나 눈·코·입의 점막을 통해 전파됩니다.
  2. 접촉 전파(Contact transmission)
    • 오염된 손이나 물건(환자에게서 나온 분비물 등)에 바이러스가 묻은 뒤, 이를 만진 손으로 눈·코·입 등을 만져 감염됩니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평균 1~4일(보통 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발현됩니다.


3. 증상(Symptoms)

  • 고열(Fever): 38~40℃ 이상 고열이 갑작스럽게 발생합니다.
  • 오한(Chills): 몸살감기보다 강렬한 오한이 동반됩니다.
  • 근육통·몸살(Myalgia): 전신 피로감과 몸살이 흔히 나타납니다.
  • 두통(Headache)
  • 호흡기 증상(Respiratory symptoms): 기침, 인후통, 코막힘, 콧물 등.
  • 소화기 증상: 일부 환자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특히 소아).

일반적인 감기는 코막힘, 콧물, 가벼운 기침 정도로 진행되지만, 독감은 급작스럽게 전신 증상이 심하게 발현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4. 합병증(Complications)

독감은 단순히 열감기로 끝나는 경우도 많지만, 특히 고위험군(65세 이상 노인, 영유아,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에서는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표적인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폐렴(Pneumonia)
    • 세균성 폐렴(이차 감염)이나 바이러스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중이염(Otitis media), 부비동염(Sinusitis)
    • 상기도 감염 후속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심근염(Myocarditis), 심낭염(Pericarditis)
    • 심장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신경계 합병증(Encephalopathy, Guillain-Barré syndrome 등)
    • 아주 드물지만, 면역 반응 이상으로 인해 신경학적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진단(Diagnosis)

  1. 임상 증상 평가: 갑작스러운 발열, 오한, 근육통 등의 전형적인 증상이 진단에 중요합니다.
  2. 신속 항원 검사(Rapid Antigen Test): 코/인후 스왑을 통해 단시간(수 분 내)에 결과를 알 수 있으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분자 검사(RT-PCR):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전자를 검출해 정확하게 진단합니다.

6. 치료(Treatment)

  1. 대증 요법(Supportive care)
    •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나 진통제를 이용해 발열·통증을 조절합니다.
  2.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s)
    • 인플루엔자 A와 B 모두에 효과가 있는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자나미비르(Zanamivir) 등이 대표적입니다.
    • 증상 발현 후 48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것이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Empower Healthcare

7. 예방(Prevention)

  1. 인플루엔자 백신(Influenza Vaccine)
    • 매년 가을초겨울(10-11월)에 접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WHO나 각국의 보건당국은 매년 유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러스주에 맞춰 백신주를 결정합니다.
  2. 개인위생 수칙
    • 손 씻기: 흐르는 물과 비누로 30초 이상 꼼꼼하게 씻습니다.
    • 기침 예절: 기침·재채기 시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립니다.
    • 마스크 착용: 증상이 있거나 호흡기가 약한 경우, 전염이 우려되는 환경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합니다.
  3. 환경 관리
    •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환기를 자주 하고, 문 손잡이·책상 등 공용 물품을 주기적으로 소독합니다.

8. 정리

  •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침범하여 발생하는 급성 전염병으로, 일반 감기보다 증상이 더 심하고 합병증 위험이 높습니다.
  • 감염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백신 접종,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중요하며, 발병 시에는 빠른 항바이러스제 치료와 충분한 휴식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감 예방 및 관리는 개인 건강뿐 아니라 공중 보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므로, 매년 백신 접종을 생활화하고,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조기에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