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공부

ACLS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by 밥스토리 2025. 1.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CPR Heart and Stroke Foundation

ACLS는 심정지와 기타 심각한 심혈관계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이 표준화된 지침에 따라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는 고급 소생술입니다.

 

1. 초기 평가 및 기본 소생술(BLS)

  1. 반응 확인
    • 환자의 의식 및 반응 여부를 확인합니다.
    • 반응이 없으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며, 즉시 CPR 시작 준비를 합니다.
  2. 호흡 및 맥박 확인 (10초 이내)
    • 가슴의 움직임, 숨소리, 맥박을 확인합니다.
    • 정상적인 호흡과 맥박이 없으면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시작합니다.
  3. 고품질 CPR 수행
    • 가슴 압박:
      • 속도: 분당 100~120회.
      • 깊이: 약 5~6cm.
      • 압박 후 완전한 이완을 보장합니다.
    • 인공호흡:
      • 가슴이 상승하는 정도로 2회의 인공호흡을 제공합니다.
      •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은 30:2 비율로 진행합니다.
  4. 자동제세동기(AED) 사용
    • AED를 신속히 연결하여 리듬 분석을 수행합니다.
    • 필요한 경우 제세동을 실시하고, 즉시 CPR을 재개합니다.

2. 고급 심정지 관리(ACLS)

  1. 심정지 리듬 분석
    • 심전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리듬 유형을 신속히 평가합니다. 리듬 분석 결과에 따라 관리 방법이 달라집니다:
      • 제세동 가능 리듬: 심실세동(VF), 무맥성 심실빈맥(pVT).
      • 비제세동 리듬: 무수축(Asystole), 무맥성 전기활동(PEA).
    • 분석 도중에도 고품질 CPR은 지속되어야 합니다.
  2. 제세동 가능 리듬(VF/pVT) 관리
    • 제세동 수행
      • 에너지 설정: Biphasic 120~200J (장비 매뉴얼에 따라 조정), Monophasic의 경우 360J.
      • 제세동 후 즉시 CPR 재개(중단 없이 2분간 수행).
      • 리듬 재분석은 2분 후 시행.
    • 약물 투여
      • 첫 번째: 에피네프린(Epinephrine) 1mg IV/IO, 3~5분 간격으로 반복.
      • 두 번째: 아미오다론(Amiodarone) 300mg IV/IO, 필요 시 150mg 추가 투여.
      • 리도카인(Lidocaine)을 아미오다론의 대체 약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용량: 1~1.5mg/kg IV/IO).
    • 제세동과 약물 투여 반복
      • 매 2분마다 CPR 중단 없이 리듬을 평가하고 제세동 및 약물 투여를 반복합니다.
     
  3. 비제세동 리듬(Asystole/PEA) 관리
    • CPR을 중단 없이 지속하며 리듬을 분석합니다.
    • 약물 투여: 에피네프린(Epinephrine) 1mg IV/IO, 3~5분 간격으로 반복.
    • 가역적 원인 탐색 및 치료 (H’s and T’s)
      • H:
        • Hypovolemia(저혈량): 수액 또는 혈액 투여.
        • Hypoxia(저산소증): 산소 공급 및 기도 확보.
        • Hydrogen ion (Acidosis, 산증): 중탄산나트륨 투여 고려.
        • Hypo-/Hyperkalemia(저/고칼륨혈증): 칼륨 또는 칼슘 투여.
        • Hypothermia(저체온증): 체온 조절.
      • T:
        • Tension pneumothorax(긴장성 기흉): 즉각적인 흉관 삽입.
        • Tamponade (cardiac, 심장 압전): 심막천자 시행.
        • Toxins(독소): 특정 해독제 투여.
        • Thrombosis (pulmonary/coronary, 혈전): 폐색전증 치료 또는 관상동맥 개입.
  4. CPR 품질 유지
    • 최소한의 중단으로 지속적인 고품질 가슴 압박.
    •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 비율(30:2)을 준수하거나 기도 확보 후 지속적인 압박 제공.

LITFL


3. 심정지 후 관리(Post-Cardiac Arrest Care)

  1. 심혈관 안정화
    • 혈압 유지: 평균 동맥압(MAP)을 65mmHg 이상으로 유지하여 주요 장기의 적절한 관류를 보장합니다.
      • 바소프레서(노르에피네프린 또는 도파민)를 사용하여 혈압을 조절.
    • 수액 치료: 탈수 및 저혈압 교정을 위해 크리스탈로이드(예: Normal Saline) 또는 콜로이드 용액을 정맥으로 투여.
  2. 기도 관리 및 산소화
    • 산소 포화도(SpO2): 92~98%로 유지하여 과도한 산소 공급을 피합니다.
    • 이산화탄소 분압(PaCO2): 35~45mmHg 범위로 유지하여 과호흡 또는 저환기를 방지합니다.
    • 기도 확보: 필요시 기도 삽관 및 기계적 환기 시행.
  3. 목표 체온 관리(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TTM)
    • 신경학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체온을 32~36°C로 유지.
    • 저체온 요법은 심정지 후 24~48시간 동안 지속하며, 발열은 적극적으로 억제합니다.
    • 체온 조절 장치를 사용하거나 물리적 방법(냉각 담요, 차가운 수액 주입)을 활용.
  4. 신경학적 평가
    • 의식 회복 여부: 환자가 자발적으로 눈을 뜨거나 명령에 반응하는지 확인.
    • EEG(뇌파 검사): 발작 활동 여부 확인.
    • 뇌 영상: CT 또는 MRI를 통해 저산소성 뇌손상의 정도 평가.
  5. 기타 치료 요소
    • 혈당 조절: 고혈당 및 저혈당을 예방하기 위해 혈당을 140~180mg/dL 범위로 유지.
    • 감염 관리: 패혈증 또는 폐렴 예방을 위해 항생제 치료 고려.
    • 심장 기능 평가: 심장 초음파를 통해 심장 기능 및 구조적 이상 확인.

4. 약물 요약

  1. 에피네프린(Epinephrine)
    • 용량: 1mg IV/IO, 3~5분 간격으로 반복.
    • 적응증: 모든 심정지 리듬에서 필수 약물로 사용되며, 혈관 수축을 유도해 관류 압력을 증가시킴.
  2. 아미오다론(Amiodarone)
    • 용량: 초기 300mg IV/IO, 필요 시 150mg 추가.
    • 적응증: 제세동에도 반응하지 않는 VF 및 pVT에서 항부정맥 효과를 나타냄.
    • 기전: 나트륨, 칼륨, 칼슘 채널을 차단하여 심근 재분극과 흥분성을 조절.
  3. 리도카인(Lidocaine) (아미오다론 대체 가능)
    • 용량: 초기 11.5mg/kg IV/IO, 필요시 0.50-75mg/kg 추가.
    • 적응증: VF 및 pVT에서 아미오다론 대체 약물로 사용 가능.
    • 주의사항: 고용량에서 신경 독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필수.
  4. 아데노신(Adenosine)
    • 용량: 초기 6mg 빠르게 IV/IO 투여, 필요 시 12mg 반복.
    • 적응증: 심실상성빈맥(SVT)의 급성 치료에 사용.
    • 기전: AV 노드에서 전기적 전도 차단을 유발하여 정상 리듬 복구.
  5. 바소프레신(Vasopressin)
    • 용량: 20단위 IV 1회.
    • 적응증: 에피네프린의 대체 약물로 사용 가능.
    • 기전: 비선택적 혈관 수축을 통해 심장 관류 압력을 증가.
  6. 도파민(Dopamine)
    • 용량: 2~20mcg/kg/min IV로 지속 주입.
    • 적응증: 저혈압 및 쇼크 상태에서 혈압 및 심박출량 개선.
  7. 아트로핀(Atropine)
    • 용량: 0.5mg IV, 3~5분 간격으로 반복, 최대 3mg.
    • 적응증: 서맥 치료.
    • 기전: 부교감신경 억제를 통해 심박수 증가.

 

  1.  

5. 주요 고려사항

  1. 의사소통 및 팀워크
    • ACLS는 다학제 팀 기반 접근법으로, 명확한 의사소통과 역할 분담이 중요합니다.
    • 팀 리더는 각 팀원의 역할을 지정하고, 명확하고 간결한 지시를 전달해야 합니다.
    • 팀원들은 주어진 역할을 정확히 수행하며, 닫힌 루프 커뮤니케이션(Closed-loop communication)을 통해 명령이 올바르게 이행되었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 긴급 상황에서는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환자의 생명 유지와 최적의 치료를 위한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립니다.
  2. 장비 준비 및 사용 숙련도
    • AED, 심전도 모니터, 기도 관리 장비, 약물 주입기 등 모든 응급 장비가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점검해야 합니다.
    • 팀원들은 각 장비의 사용법과 문제 해결 방법에 숙달되어 있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장비 점검과 유지 관리를 통해 비상시 장비 작동 불능 상황을 예방합니다.
  3. 정기적 훈련 및 시뮬레이션
    • ACLS 기술과 알고리즘은 정기적인 훈련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지되어야 합니다.
    • 실제 사례 기반의 시뮬레이션은 팀워크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 새로운 가이드라인이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4. 가이드라인 준수와 업데이트
    • ACLS 가이드라인은 최신 연구와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됩니다.
    • 팀원들은 최신 ACLS 지침을 숙지하고 이를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새로운 권장사항이나 변경 사항은 팀 전체가 공유하고 실행 방안을 논의합니다.
  5. 스트레스 관리
    • 응급 상황에서 높은 스트레스는 의사결정과 팀워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알고리즘을 따르고 역할을 명확히 분배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이고 효율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합니다.
    • 필요시 응급 상황 종료 후 팀 전체의 디브리핑(Debriefing)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논의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