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공부106

septic shock에서 vancomycin과 meropenem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Septic shock은 전신 염증 반응에 의해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고 주요 장기의 관류가 저해되는 응급 상황입니다. 이 상황에서는 가능한 한 빠르게 원인균에 대한 광범위하고 효과적인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 확산과 기관의 다발성 부전을 막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중 vancomycin과 meropenem을 초기에 병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근거가 있습니다.1. 폭넓은 경험적 항균 범위 확보1.1 Vancomycin:주요 타깃:그램양성균,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효과적입니다.그 외에도 페니실린 내성 폐렴구균 등 내성 그람양성균을 광범위하게 커버할 수 있습니다.중요성:중증 감염에서 MRSA는 병원 내 감염 혹은 지역사회 감염으로도 흔.. 2025. 2. 15.
septic shock에서 수액을 full drop 하는 이유, 어떤 수액을 주입해야할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Septic shock은 전신 감염에 따른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한 혈관 확장(vasodilation)과 모세혈관 누출(capillary leak)로 인해 효과적인 순환혈액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이 과정에서 혈압이 떨어지고, 주요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데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빠르게 개선하기 위해 수액을 최대한 빠른 속도(Full Drop)로 주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1. Septic Shock의 병태생리 및 혈역학 변화1.1 염증 반응과 혈관 확장면역 매개 반응:감염에 의해 면역 체계가 활성화되면서 사이토카인(예: TNF-α, IL-1, IL-6) 등의 염증 매개체가 대량 분비됩니다.혈관 확장:이 염증 매개체들은 혈관.. 2025. 2. 14.
contrast CT를 찍고나면 최소 몇시간 이후에 다시 찍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1. 조영제의 배출 메커니즘과 기본 원칙요오드 기반 조영제의 특성배출 경로:CT 검사에 사용되는 요오드 기반 조영제는 체내로 투여되면 주로 신장을 통해 여과되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정상 신장 기능:정상적인 신장 기능을 가진 성인의 경우, 이 조영제는 보통 24시간 내에 대부분 배출됩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최소 24시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됩니다.목적 및 효과영상 대비 강화:요오드 성분이 X-선을 강하게 흡수하기 때문에, 투여한 부위는 CT 영상에서 밝게 나타나며, 이를 통해 혈관이나 병변 등의 경계를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안전성 확보:조영제가 체내에 충분히 배출되기 전에 추가로 투여하게 되면, 요오드 성분이 누적되어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 2025. 2. 13.
CT 조영제와 MRI 조영제의 차이는?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CT 조영제는 주로 요오드 화합물을 포함하고, X선 투과를 차단하여 혈관과 조직을 뚜렷하게 보이게 합니다. MRI 조영제는 가돌리늄(Gd)을 포함하여 조직 내 수소 원자의 이완 시간을 변하게 하여, T1 또는 T2 이미징에서 신호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킵니다. 또한, CT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고, MRI는 자기장을 이용한 이완 특성의 변화를 초래합니다. 이 두 조영제는 화학적 구성과 작용 메커니즘에서 다릅니다.CT(컴퓨터 단층촬영)와 MRI(자기공명영상)는 서로 다른 물리적 원리를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에 사용되는 조영제도 그 특성과 작용 방식이 다릅니다.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구성 물질CT 조영제요오드 기반: C.. 2025. 2. 12.
바이러스성 수막염(Viral meningitis)의 모든것! 목차서론정의 및 역학원인 바이러스임상 증상진단 방법치료 및 관리예후 및 합병증예방 전략결론참고 문헌1. 서론바이러스성 뇌수막염(Viral Meningitis)은 뇌와 척수를 둘러싼 막인 뇌수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됩니다. 세균성 뇌수막염과 비교했을 때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고 회복 기간이 짧은 편이지만, 여전히 의료인에게는 중요한 진단 및 치료 대상입니다. 본 글에서는 의료인과 의학 분야 종사자들이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최신 연구와 임상 사례를 포함한 주요 정보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2. 정의 및 역학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은 바이러스가 뇌수막을 감염시켜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주로 아테놀릭(attenuated)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2025. 2. 11.
세균성 수막염(Bacterial Meningitis)의 모든것! 목차세균성수막염의 정의 및 역학병태생리학원인균 및 전파 경로위험 인자 및 예방임상 증상 및 진단영상학적 소견치료 방법예후 및 합병증최근 연구 동향결론1. 세균성수막염의 정의 및 역학세균성수막염(Bacterial Meningitis)은 뇌와 척수를 둘러싼 막인 뇌수막(meninges)에 세균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중대한 의학적 응급 상황입니다. 이는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인 질환으로, 신속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신경학적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전 세계적으로 세균성수막염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특히 영유아와 노인, 면역 저하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백신 도입 이후 일부 원인균의 발생률은 감소했으나, 여전히 다양한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며 지역별, 연령별 유병.. 2025.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