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8 SPECT검사, adenosine 투약 이유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검사는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조직 및 장기의 기능과 혈류 상태를 평가하는 핵의학 검사입니다.SPECT 검사 원리방사성 동위원소 투여:환자에게 방사성 물질(예: 테크네튬-99m, 탈륨-201)을 포함한 약물을 정맥으로 투여합니다.이 방사성 동위원소는 목표 장기(심장, 뇌 등)에서 농축됩니다.감마선 탐지:방사성 동위원소는 감마선을 방출하며, 이를 감지기로 측정합니다.감지기는 환자의 몸 주변을 회전하며 여러 각도에서 신호를 수집합니다.3D 영상 생성:수집된 감마선 데이터를 컴퓨터가 분석하여, 장기의 단면 이미지(3D 이미지)를 재.. 2025. 1. 15. Chest tube, Chest PCD, mini tube의 차이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Chest Tube, Chest PCD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그리고 Minitube는 모두 흉부에서 체액(혈액, 삼출액, 농, 공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지만, 크기, 삽입 방법,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 아래에 주요 차이점을 정리했습니다.Chest Tube (Thoracostomy Tube)정의• 큰 직경(일반적으로 20~36 Fr)의 튜브로, 흉강 내 공기나 체액(혈액, 농양, 삼출액 등)을 제거하기 위해 흉벽을 통해 삽입됩니다.특징• 삽입 방식: 외과적으로 삽입하거나, 비상 상황에서 직접 삽입.• 사용 목적:• 기흉 (Pneumothorax).• 혈흉 (Hemothorax).• 농흉 (Empyema).• 흉.. 2025. 1. 14.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은 모두 심장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그 작용 기전과 임상 적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도파민(Dopamine)작용 기전: 도파민은 용량에 따라 다양한 수용체에 작용합니다:저용량(1-3 µg/kg/min):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하여 신장 혈류를 증가시키고 이뇨 작용을 촉진합니다.중간 용량(5-10 µg/kg/min): 베타-1 수용체를 자극하여 심근 수축력과 심박출량을 증가시킵니다.고용량(>10 µg/kg/min): 알파 수용체를 자극하여 말초 혈관 수축과 혈압 상승을 유도합니다.임상 적용: 도파민은 저혈압을 동반한 심부전, 심인성 쇼크, 패혈성 쇼크 등에서 혈압 유지와 심박출량 증.. 2025. 1. 14.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진단과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이란?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AF)은 심장의 심방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심장 리듬 장애)입니다. 정상 심장 박동은 전기 신호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심방에서 심실로 전달되며 이루어지는데, 심방세동에서는 이 전기 신호가 무질서하게 발생해 심방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고 불규칙하게 수축합니다. 심방세동의 발생기전 심방세동의 기본 전기적 기전심방세동의 발생에는 유발 요인(trigger)과 기질적 요인(substrate) 두 가지가 중요합니다. 유발 요인 (Trigger)이소성 전기 활동심장의 정상적인 전기 신호 발생 부위(동결절)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신호가 생성.. 2025. 1. 10. Albumin, Lasix(furosemide) 병합 요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오늘은 흔히 알부민라식스 칵테일 요법이라고 부르는Albumin + Furosemide 병합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lbumin, Furosemide의 역할 Albumin(알부민)의 역할 혈액 내 주요 단백질로, 혈관 내 삼투압 유지에 필수적.저알부민혈증 환자에서 체액 재분배를 도와 복수, 부종 개선.주로 간경화, 신증후군, 심각한 저단백혈증 치료에 사용. Lasix(Furosemide)의 역할 강력한 루프 이뇨제로, 체내 과도한 수분과 나트륨 배출 촉진.심부전, 폐부종, 신부전 환자에서 체액 과다를 조절.전해질 불균형(칼륨, 나트륨) 주의가 필요. Albumin, Furosemide 병용투여의 목적 체액 이동 및 배출 효과 극.. 2025. 1. 10. 임상에서 자주 쓰이는 진통제(Pain killer) 정리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오늘은 병원에서 많이 쓰는 진통제Morphine, Fentanyl, Pethidine, Tramadol, Ketorolac, Acetaminophen, NSAID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진통제란? 진통제는 통증을 완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진통제는 크게 비마약성 진통제 (Non-opioid analgesics)와 마약성 진통제 (Opioid analgesics)로 나눠지며, 각각의 특성과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Morphine (모르핀) 특징모르핀은 마약성 진통제(Opioid)로, 강한 진통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천연 아편제에서 유래한 진통제로, 강력한 통증 완화에 사용됩니다. .. 2025. 1. 9. 이전 1 ···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