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검사는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조직 및 장기의 기능과 혈류 상태를 평가하는 핵의학 검사입니다.
SPECT 검사 원리
- 방사성 동위원소 투여:
- 환자에게 방사성 물질(예: 테크네튬-99m, 탈륨-201)을 포함한 약물을 정맥으로 투여합니다.
- 이 방사성 동위원소는 목표 장기(심장, 뇌 등)에서 농축됩니다.
- 감마선 탐지:
- 방사성 동위원소는 감마선을 방출하며, 이를 감지기로 측정합니다.
- 감지기는 환자의 몸 주변을 회전하며 여러 각도에서 신호를 수집합니다.
- 3D 영상 생성:
- 수집된 감마선 데이터를 컴퓨터가 분석하여, 장기의 단면 이미지(3D 이미지)를 재구성합니다.
- 이를 통해 장기 기능의 이상이나 질환을 진단합니다.
SPECT 검사의 목적
- 심장 검사:
- 심근 관류 평가: 협심증, 심근 경색 등 허혈성 심질환 진단.
-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심근 허혈 부위 확인.
- 뇌 기능 검사:
- 뇌 혈류 평가: 뇌졸중, 치매, 뇌종양, 뇌전증(간질) 등 진단.
- 특정 뇌 영역의 활성화 정도 분석.
- 종양 및 암 진단:
- 암 조직의 대사 상태와 혈류 평가.
- 암의 위치와 크기, 전이 여부 확인.
- 골질환 평가:
- 골다공증, 골절, 뼈 종양, 뼈 감염(골수염) 진단.
- 기타 장기 기능 분석:
- 신장, 간, 폐 등의 기능 이상 확인.
SPECT 검사의 장점
- 기능 평가 가능:
- 단순한 구조적 이미지만 제공하는 CT, MRI와 달리 조직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비교적 안전:
- 사용되는 방사선량이 낮아 안전하며, 부작용이 드뭅니다.
- 3D 영상:
- 단층 촬영을 통해 정확하고 입체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SPECT 검사의 단점
- 시간 소요:
- 검사 시간이 길며(대략 30분~1시간), 방사성 동위원소 주입 후 기다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해상도 제한:
- CT나 MRI에 비해 해상도가 낮아 세밀한 구조적 정보 제공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SPECT 검사의 과정
- 방사성 동위원소 주입.
- 대기 시간(약물이 장기에 도달 및 분포되는 시간).
- 감마 카메라로 신호 수집.
- 영상 재구성 및 해석.
SPECT와 PET의 차이
구분SPECT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방사성 물질 | 단일 광자 방출 물질(예: 테크네튬-99m, 탈륨-201) | 양전자 방출 물질(예: F-18, FDG) |
이미지 해상도 | 낮음 | 높음 |
비용 | 비교적 저렴 | 고가 |
적응증 | 심장, 뇌 혈류, 골질환 등 | 암 대사, 뇌질환, 심장 대사 등 |
SPECT 검사는 질병의 기능적 이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혈관 질환과 신경 질환 진단에 특히 유용합니다.
심근 관류 SPECT(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검사에서 아데노신(adenosine)을 투약하는 이유는 심장에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허혈성 심질환을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아데노신은 약물 부하검사에서 운동 부하를 대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데노신 투약의 이유
- 관상동맥 확장 유도:
- 아데노신은 관상동맥의 A2a 아데노신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 정상적인 관상동맥은 크게 확장되지만,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은 충분히 확장되지 못합니다.
- 이를 통해 혈류 분포의 차이를 만들어 허혈 부위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운동 부하의 대체:
- 일부 환자들은 신체적 운동(예: 트레드밀 검사)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고령, 심부전, 관절 질환 등).
- 아데노신은 약물로 운동과 유사한 심장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하여 심근 허혈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 심근 허혈 평가:
- 아데노신에 의해 증가된 혈류 상태에서 방사성 동위원소(예: 테크네튬-99m, 탈륨-201)가 분포되는 모습을 관찰합니다.
- 허혈성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해당 부위는 정상 부위보다 방사성 물질 섭취가 적게 나타납니다.
- 검사 효율성 및 안전성:
- 약물 부하검사는 비침습적이고 간편하게 심근 관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아데노신의 작용 시간은 짧고, 부작용이 발생하더라도 금방 소실됩니다.
적응증
- 운동 부하검사가 불가능한 환자:
- 고령, 관절염, 신경계 질환 등으로 운동 수행이 어려운 경우.
- 심근 허혈 진단:
- 안정형 협심증, 관상동맥 질환 평가.
- 관상동맥 혈류 평가:
- 혈관 협착이나 경색 부위 식별.
주의사항
- 부작용:
- 일시적인 가슴 불편감, 두통, 어지럼증, 혈압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대부분 투약 중단 후 금방 사라집니다.
- 금기증:
- 천식 또는 중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기관지 수축 유발 가능).
- 고도 방실차단이나 심박수가 극도로 느린 환자.
결론
SPECT 검사에서 아데노신은 운동 부하가 어려운 환자에게 심장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심근 허혈과 관상동맥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약물입니다.
반응형
'임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환자 MSII(Mixed Sustained Insulin Infusion)란? (0) | 2025.01.15 |
---|---|
안과검사 시 tropherine으로 산동을 하는 이유 (0) | 2025.01.15 |
Chest tube, Chest PCD, mini tube의 차이 (0) | 2025.01.14 |
도파민(dopamine)과 도부타민(dobutamine)의 차이 (0) | 2025.01.14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의 진단과 치료방법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