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ERBD는 담즙 배출을 돕기 위해 내시경을 사용하여 담관에 스텐트를 삽입하거나 배액관을 설치하는 시술입니다. 이 방법은 담관 폐쇄나 담즙 배출 장애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ERBD가 기능을 상실하거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ERBD Malfunction의 주요 원인
- 스텐트 폐쇄(Stent Occlusion):
- 담즙 정체로 인해 담즙 내 성분(담즙산, 콜레스테롤, 빌리루빈)이 침전되면서 스텐트 내부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바이오필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폐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텐트 이탈(Stent Migration):
- 스텐트가 삽입 위치에서 이동하여 담관에서 이탈하거나 소화관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이는 시술 과정에서의 위치 설정 오류나 장 운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감염 및 염증:
- 담관염(Cholangitis) 또는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스텐트 주변의 부종과 압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감염으로 인해 스텐트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기계적 문제:
- 스텐트 자체의 결함(예: 재질 손상 또는 부적절한 크기 선택)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배액관의 막힘 또는 손상으로 인해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암성 폐쇄:
- 악성 종양(예: 담관암, 췌장암)이 진행되어 스텐트를 압박하거나 폐쇄할 수 있습니다.
- 스텐트가 종양 성장에 의해 밀려나거나 막히는 경우가 흔합니다.
- 담석:
- 스텐트 주변에 담석이 형성되면서 배액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특히, 기존에 담석이 있던 환자에서 이러한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ERBD Malfunction의 증상
- 황달 재발
- 복통 및 오른쪽 상복부 통증
- 발열 및 오한(담관염을 시사)
- 소화불량 및 메스꺼움
ERBD Malfunction의 관리 및 예방
- 정기적인 모니터링:
- 스텐트 삽입 후 일정 간격으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스텐트 상태를 확인합니다.
- 담관염이나 담즙 정체의 초기 증상을 파악하기 위해 혈액 검사(빌리루빈, 간효소)를 시행합니다.
- 스텐트 교체:
- 폐쇄가 발생한 경우 기존 스텐트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텐트를 삽입합니다.
- 플라스틱 스텐트는 보통 3~6개월 후 교체가 필요하며, 금속 스텐트는 더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습니다.
- 감염 예방:
- 스텐트 삽입 전후로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 적절한 시술 환경에서 무균적으로 시술을 진행합니다.
- 종양 치료:
- 악성 종양으로 인한 폐쇄가 원인일 경우, 종양 크기를 줄이기 위한 항암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를 병행합니다.
- 담즙 성분 조절:
- 담즙의 점도를 낮추고 담즙 정체를 방지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예: 우르소데옥시콜산).
결론
ERBD는 담즙 배출 장애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스텐트 폐쇄, 감염, 기계적 문제 등으로 인해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관리와 조기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적절한 대처(스텐트 교체, 감염 치료 등)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임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 후 장폐색(Postoperative Bowel Obstruction)이 발생하는 이유 (0) | 2025.01.17 |
---|---|
TURB(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후 지속적인 혈뇨(Hematuria)의 원인 (0) | 2025.01.17 |
CO2 Retention 환자에서 BiPAP 적용 및 Intubation의 필요성 (0) | 2025.01.17 |
기립성 혈압 측정(Orthostatic Blood Pressure Test)란? (0) | 2025.01.16 |
측두엽 발작(Temporal Lobe Epilepsy, TLE) 정리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