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응급실 간호사
밥스토리의 밥삼촌입니다!

CO2 retention(이산화탄소 저류)은 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중증 천식, 신경근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폐의 환기 능력이 감소하여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환자에게는 적절한 환기 지원이 필수적이며, BiPAP(양압 비침습 환기)나 기관 삽관(Intubation)을 고려하게 됩니다.
BiPAP 적용의 이유
BiPAP은 비침습적 방식으로 환기를 보조하여 CO2를 제거하고, 폐의 환기 기능을 개선하는 데 유용합니다.
적용 기준:
- CO2 retention으로 인한 호흡성 산증(pH < 7.35, PaCO2 > 45 mmHg)이 있는 경우.
- 환자가 스스로 호흡할 수는 있으나 호흡 곤란이 심하고 저산소증이 동반된 경우.
- 폐렴이나 폐부종과 같은 가역적인 원인이 있을 때.
효과:
- 환기 보조:
- 흡기 시 양압을 제공하여 폐포를 확장시키고, 산소 교환을 개선합니다.
- 호기 시 양압을 유지하여 기도 폐쇄를 예방하고, CO2 제거를 돕습니다.
- 비침습성:
- 기관 삽관 없이 사용 가능하므로, 감염 및 삽관 관련 합병증의 위험을 줄입니다.
한계:
- 의식 저하, 심한 구토, 다량의 점액 분비가 있는 경우에는 비침습 환기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BiPAP로 충분한 환기 보조가 되지 않을 경우 기관 삽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Intubation의 필요성
Intubation(기관 삽관)은 BiPAP로 환기 보조가 충분하지 않거나 환자가 중증 호흡 부전 상태일 때 시행됩니다.
적용 기준:
- 호흡 정지 또는 임박한 호흡 정지의 징후.
- 의식 저하로 인해 자발 호흡이 어렵거나 기도 보호가 불가능한 경우.
- BiPAP 치료에도 불구하고 저산소혈증(SpO2 < 90%) 또는 심한 고탄산혈증(PaCO2 지속적 상승)이 개선되지 않을 때.
- 기도 폐쇄의 위험이 있는 경우(예: 심한 후두 부종).
효과:
- 기계적 환기 지원:
- 기도 확보 및 완전한 환기 지원이 가능합니다.
- 폐포 환기를 직접적으로 조절하여 CO2를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 산소 공급 안정화:
- 지속적인 고농도 산소를 제공하여 산소포화도를 안정화시킵니다.
한계 및 위험:
- 감염(폐렴) 및 기계 환기와 관련된 합병증(예: 기흉, 기도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긴급 삽관 상황에서 심혈관계 부작용(저혈압, 부정맥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BiPAP과 Intubation의 선택 기준 비교
구분BiPAPIntubation
적용 상황 | 경미한~중등도 호흡 곤란 및 의식 유지 | 중증 호흡 부전, 의식 저하, 기도 보호 필요 |
장점 | 비침습적, 감염 위험 적음, 사용 용이 | 완전한 환기 지원, 기도 확보 가능 |
단점 | 사용 조건 제한(의식, 점액 분비 등) | 감염 및 합병증 위험, 침습적 |
사용 목적 | 초기 환기 보조 및 가역적 문제 해결 지원 | 지속적인 기계 환기 및 생명 유지 |
결론
CO2 retention 환자에서 BiPAP과 Intubation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며, 적절한 적용으로 환자의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BiPAP은 비침습적으로 환기 보조가 가능하지만, 중증 환자에서는 기관 삽관이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임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RB(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후 지속적인 혈뇨(Hematuria)의 원인 (0) | 2025.01.17 |
---|---|
ERBD(Endoscopic Retrograde Biliary Drainage)가 Malfunction되는 이유 (0) | 2025.01.17 |
기립성 혈압 측정(Orthostatic Blood Pressure Test)란? (0) | 2025.01.16 |
측두엽 발작(Temporal Lobe Epilepsy, TLE) 정리 (0) | 2025.01.16 |
seizure중인 환자에게 lorazepam을 투약하는 이유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