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혈액투석(hemodialysis)을 받는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안정적인 혈관접근통로입니다. 그중에서도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AVF)는 투석 환자에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근 방법이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경로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AVF에 협착(stenosis)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혈류 감소로 인해 투석 효율이 떨어지거나 AVF 폐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는 시술이 바로 AVF PTA(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AVF PTA가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어떻게 시행되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본문
1) 정의
AVF PTA(동정맥루 풍선확장술)는 협착된 AVF 혈관을 풍선카테터(balloon catheter)를 이용해 넓히는 비수술적 혈관중재시술(interventional radiology procedure)입니다. 이 시술을 통해 혈류를 정상화하고 투석 효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1) AVF: 동맥과 정맥을 직접 연결하여 만든 인공 혈관
(2) PTA: 좁아진 혈관 부위를 풍선으로 넓혀주는 시술
(3) 목적: AVF 기능 회복 및 유지, 재수술 예방
2) 원인
AVF에 협착이 생기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내막증식(intimal hyperplasia): 혈관 내벽이 두꺼워지면서 혈류가 제한됨
(2) 혈전(thrombosis): 혈관 내 피떡이 형성되어 혈류를 막음
(3) 기계적 외상: 반복적인 투석 바늘 삽입으로 혈관 손상
(4) 염증 및 감염: 혈관벽의 염증으로 협착 유발
3) 증상
AVF 협착 시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석 중 혈류량 감소: 기계 경보음, 적절한 투석 어려움
(2) 스릴(thrill) 또는 브루이(bruit)의 변화: 정상적인 진동이나 소리가 약해지거나 사라짐
(3) 정맥 울혈 및 부종: 투석 팔의 부기
(4) 혈관 폐색: 투석 불가능한 상태로 진행 가능
4) 진단 방법
AVF 협착 여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합니다.
(1) 임상적 관찰: 스릴, 브루이, 혈류량 변화 확인
(2) 도플러 초음파(Doppler Ultrasound): 협착 위치와 정도 확인
(3) 혈관조영술(Fistulography): 조영제를 이용해 혈관을 직접 확인
(4) 투석기계 지표: 순환혈류량, 정맥압, 투석효율 수치 변화
5) 치료 방법
AVF PTA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1) 혈관조영술을 통해 협착 부위 확인
(2) 가이드와이어 삽입 후 풍선카테터 위치시킴
(3) 협착 부위에 풍선을 팽창시켜 혈관 확장
(4) 필요 시 스텐트(stent) 삽입
(5) 시술 후 혈류 정상화 확인
시술은 국소마취 하에 시행되며, 대부분 당일 퇴원이 가능합니다. 시술 시간은 약 30분~1시간 정도이며, 성공률은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입니다.
6) 예방 방법
AVF 협착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기적인 혈관 검사: 주기적인 초음파 및 물리적 평가
(2) 정확한 바늘 삽입 기술 유지: 같은 부위 반복 삽입 피하기
(3) 과도한 압박 피하기: 투석 후 지혈 시 적절한 압력 유지
(4) 혈압과 혈당 조절: 혈관 건강 유지
(5) AVF 팔의 보호: 무거운 물건 들지 않기, 혈압 측정 금지
3. 결론
AVF PTA는 혈액투석 환자의 생명선인 AVF를 유지하고 기능을 회복시키는 매우 중요한 시술입니다. 혈관 협착은 투석 효율 저하뿐 아니라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정기적인 혈관 모니터링과 올바른 사용 습관이 AVF의 장기적인 기능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s)
- AVF PTA는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하나요?
협착 정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6개월~1년에 한 번 정도가 많습니다. - 시술 후 재협착 가능성은 있나요?
예, 일부 환자에서는 반복적인 협착이 발생할 수 있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 시술은 아픈가요? 마취는 어떻게 하나요?
대부분 국소마취로 시행되며, 심한 통증은 없습니다. - 시술 후 바로 투석이 가능한가요?
일반적으로 시술 후 바로 또는 다음 날부터 투석이 가능합니다. - 스텐트는 언제 사용하나요?
반복 협착이 발생하거나 풍선확장으로 효과가 부족할 때 사용됩니다. - 합병증이 있을 수 있나요?
출혈, 감염, 혈관 파열 등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안전한 시술입니다. - 시술 후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시술 부위 압박, 팔 사용 자제, 감염 예방에 유의해야 합니다. - 이 시술은 보험이 되나요?
대부분의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 AVF PTA가 어려운 경우 대안은 무엇인가요?
새로운 AVF 수술 또는 중심정맥관 삽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혈류량이 줄었을 때 무조건 시술이 필요한가요?
의사의 판단 하에 시술 여부가 결정됩니다. 모든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5. 출처 (References)
-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Vascular Access: 2019 Update
- 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RSNA)
- 대한투석접근학회지
- UpToDate: "Interventions for Dysfunctional Hemodialysis Arteriovenous Fistulas"
-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NDT) Journal
'임상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짝 부딪혔는데도 멍이? 그냥 체질일까요? (0) | 2025.03.31 |
---|---|
아무리 자도 피곤하다면? 만성 피로를 의심해보세요 (0) | 2025.03.30 |
로이스-디츠 증후군(Loeys-Dietz Syndrome, LDS) (0) | 2025.03.12 |
아이젠멩거 증후군 (Eisenmenger Syndrome) (0) | 2025.03.10 |
심실중격결손(VSD)에 대한 모든 것: 원인부터 치료까지 (0) | 2025.03.08 |